편집요청 중에 출처를 알기 어렵거나, 명백히 잘못된 정보가 있더라도, 일반 이용자는 이의를 제기하거나 편집요청을 닫을 수 없습니다. 해당 기능이 존재한다면, 편집요청에 대한 의견을 더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, 운영진 측에서는 해당 댓글을 참조하여 요청 수용/반려를 하기 더 용이해질 것입니다.
열린 편집요청에 한해 댓글을 허용하고, 닫거나 승인된 편집요청에는 댓글을 잠글 수 있으면 합니다.
편집요청 중에 출처를 알기 어렵거나, 명백히 잘못된 정보가 있더라도, 일반 이용자는 이의를 제기하거나 편집요청을 닫을 수 없습니다. 해당 기능이 존재한다면, 편집요청에 대한 의견을 더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, 운영진 측에서는 해당 댓글을 참조하여 요청 수용/반려를 하기 더 용이해질 것입니다.
열린 편집요청에 한해 댓글을 허용하고, 닫거나 승인된 편집요청에는 댓글을 잠글 수 있으면 합니다.
@zonecombd6666 분류 모자이크 문법이 적용된 겁니다. 해당 분류가 등장인물에 대한 스포일러 요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되어서 인 듯 합니다.
인클루드 수정이라던가 html코드, url 수정을 위해 해당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. 그러면 찾는 수고를 덜 수 있을 거고요.
다시생각해보니 그렇긴 하네요. 확실히 다크모드색을 따로 지정하지 않을때에도 기본적으로 라이트모드 색을 우선시하는게 더 나을거 같습니다.
@kiwitree 미디어위키 엔진의 #if 처럼 조건문 같은 거라도 구현되었음 좋겠지만, 그건 아직은 먼 이야기 같네요.
@kiwitree 그게 잘 안되는거 같습니다. colbgcolor을 같은 열에 다시 호출하면 문법이 먹지 않는 현상을 확인했습니다.
이 페이지는 하루에 한번 업데이트 됩니다.
안내가 이렇게 되어있습니다. 오후엔 갱신되어 있을테니 그때 다시 확인해보세요.
최근 이용자들의 연구에 의해, 위키 스타일과 틀 매개변수를 융합해 가변형 틀이 여럿 생성되고 있습니다. 다만, 가변형 틀의 조건문이 개인적으론 조악한것 같다고 생각이 듭니다.
위키 스타일이 정확히 어느쪽을 건드리는지만 알면 좀 더 유연하게 대체될 것 같습니다만, 아직은 그 원리를 잘 모르겠습니다. 그리고 현재의 가변형 틀이 의도된 것인지, 아니면 단순 이용자들간의 창발적인 이용인건지도 알고자 합니다.